본문 바로가기
건강브리핑

단백뇨란? 원인과 유형, 진단 및 단백뇨 치료 방법 총정리

by 협상마스터 2024. 9. 18.

단백뇨란? 원인과 유형, 진단 및 치료 방법 총정리

 


1. 단백뇨란 무엇인가?


단백뇨는 소변에 비정상적인 양의 단백질이 포함된 상태를 말합니다. 건강한 신장은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여과하는 역할을 하지만, 신장에 손상이 생기면 여과 기능이 저하되어 단백질이 소변으로 누출될 수 있습니다. 단백뇨는 신장 손상의 초기 징후일 수 있으며, 다양한 원인과 유형에 따라 그 심각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단백뇨의 유형


1) 일시적 단백뇨 (Transient Proteinuria)

일시적 단백뇨는 소변에서 일시적으로 단백질 배설량이 증가하는 상태로, 신장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주로 신체적 스트레스나 정서적 스트레스, 발열, 감염 등의 급성 질환 또는 추위 노출 등 일시적인 환경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신체적 및 정서적 스트레스, 급성 질병, 추위 노출 등.

 

관리: 보통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해결되지만,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지속될 경우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기립성 단백뇨 (Orthostatic Proteinuria) 기립성 단백뇨는 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서 있을 때 단백질 배설량이 증가하고 누워 있을 때는 정상으로 돌아오는 특징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양성 상태로 신장 손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특징: 자세에 따라 소변 내 단백질 양이 달라지며, 서 있을 때 단백질 양이 증가합니다.
진단: 밤과 낮에 채취한 소변에서 단백질 수치를 비교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관리: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2) 지속성 단백뇨 (Persistent Proteinuria)

지속성 단백뇨는 장기적이고 심각한 상태로, 기저 신장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만성 신장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의 전신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원인: 만성 신장 질환(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증 등), 전신 질환(루푸스 등), 신장의 구조적 이상.

 

진단: 정기적인 소변 검사와 신장 기능 검사로 진단하며, 필요 시 신장 초음파 및 생검이 시행됩니다.

 

관리: 기저 질환을 치료하고, 신장 보호 약물(ACE 억제제, ARB)을 사용하며, 식단 조정과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합니다.

 

 

3. 단백뇨의 원인


단백뇨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몇 가지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뇨병: 고혈당이 신장을 손상시켜 단백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지속적인 고혈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장 손상을 일으킵니다.
사구체신염: 신장의 여과 기능에 중요한 사구체에 염증이 생기면 단백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루푸스: 자가 면역 질환인 루푸스는 신장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장 결석 및 감염: 신장 조직이 손상되면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정 약물 및 독소: NSAID(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같은 약물 및 중금속 독소에 노출되면 신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단백뇨의 증상


대부분의 경우, 단백뇨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일상적인 소변 검사를 통해 발견됩니다. 그러나 더 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거품 있는 소변: 소변에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을 때 거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부종: 신장이 과도한 수분을 배출하지 못할 경우 손, 발, 얼굴 등이 붓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백뇨의 진단
단백뇨는 소변 검사, 24시간 소변 수집,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소변 검사: 소변에서 단백질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 검사입니다.
24시간 소변 수집: 24시간 동안 배출된 단백질의 총량을 측정해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크레아티닌, 혈중 요소 질소(BUN) 등을 측정합니다.
사구체 여과율(GFR): GFR은 신장의 여과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크레아티닌 수치 등을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영상 검사: 신장의 구조적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또는 CT 스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장 생검: 단백뇨의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특정 신장 질환이 의심될 경우, 조직 검사를 통해 더 자세한 진단을 내립니다.

 

 

5. 단백뇨의 치료

단백뇨의 치료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 신장 손상을 예방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고혈압 조절: 혈압을 낮추고 단백뇨를 감소시키기 위해 ACE 억제제나 AR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식단 조절과 생활 습관 변화도 중요합니다.
당뇨병 관리: 혈당을 엄격히 관리하여 신장 손상을 예방합니다. 이와 함께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과 적절한 약물 사용이 필요합니다.
식단 조정: 신장 기능에 따라 단백질 섭취를 줄이고, 필요한 경우 칼륨과 인을 조절합니다.
기저 신장 질환 치료: 기저 질환에 따라 면역 억제제 등의 특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 수정: 금연,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은 신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기적인 모니터링: 정기적인 소변 검사와 신장 기능 검사를 통해 단백뇨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합니다.

 

 

6. 결론

단백뇨는 신장 질환의 중요한 지표일 수 있으며,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시적 단백뇨는 대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지속성 단백뇨는 심각한 신장 손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규칙적인 의료 검진과 적절한 생활 습관을 통해 신장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